-
을축(乙丑)일(21.11.13)어설픈 명리학/60간지([철공소]의 오늘을 위한 한 줄) 2021. 11. 13. 06:34
을축(乙丑)은 겨울의 동토위에 봄의 확장을 기다리는 을목(乙木) '인동초'를 의미한다.
온화함과 침착성, 온순하지만 강인한 정신력, 끈질김과 인내심이 잘 발현되는 기운이며 기어이 버텨내고 이겨내는 힘이 강하다. 을축의 기운은 고진감래의 대기만성형이니 후반부에 강하다. 이런 날은 목표한 것이 있다면 아침 일찍 준비해서 날이 끝나기 전에 성취하도록 계획을 짜는 것도 괜찮다.
흐름이 좋은 때 이런 날을 만나면 인내심과 냉정한 현실 분석으로 매사를 조심하면서 일을 완성하는 능력이 잘 발현된다. 축(丑)은 소를 의미하므로 일복이 많고 인내심이 많고 융통성이 있는 듯하다. 일지에 편재(偏財)를 두었으니 재물에 대한 집착과 현실성이 매우 뛰어나서 세속적인 성공을 거두기에 좋은 기운이다. 을목 특유의 생명력과 창고인 축토(丑土)가 편재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단단한 창고다.
하지만 흐름이 좋지 않은 때 이런 날을 만나면 인내심은 고집스러움으로 발현되기 쉬우며 자기 고집으로 인해 주변인들을 배제하고 고립될 수 있다. 온화하고 온순한 성격인듯 보이지만 자기가 확신하는 것에는 지나칠 정도로 황소고집이 된다. 자신감이 위축될수록 의심이 많아져서 쉽게 마음을 못 여는 모습도 보인다.
버티고 이겨내서 성취하는 힘도 강하지만 그 후에 몰락하는 반전도 있다. 이는 자신의 성취가 운이 아니라 자기 능력 때문이라고 자만하여 이전의 성공 패턴으로만 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지장간에 편인(偏印) 편관(偏官) 편재로 이어지는 구성 때문에 힘의 세기는 크지만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커서 재물운의 향방이 심하게 엇갈리기에 일확천금에 운을 거는 태도는 위험하다.
을축은 자기 주장이 강해질 때가 위험한 순간이다. 자신에게 집중되는 에너지를 이완하여 충분히 장을 넓히려는 자세가 절실한 순간이다.
▶ 자시자불창(自是者不彰) : 스스로 옳다 하는 사람은 빛나지 못한다.
'어설픈 명리학 > 60간지([철공소]의 오늘을 위한 한 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묘(丁卯)일(21.11.15) (0) 2021.11.15 병인(丙寅)일(21.11.14) (0) 2021.11.14 갑자(甲子)일(21.11.12) (0) 2021.11.12 계해(癸亥)일(21.11.11) (0) 2021.11.11 임술(壬戌)일(21.11.10) (0)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