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니어그램

에니어그램의 연혁(?) & 아홉 유형의 열정

어설픈 공부 2019. 9. 27. 12:25

 

 에니어그램의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다고 한다. 기원전 2500년에 바빌론에서 시작되었다고는 하지만 사실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없기 때문이다. 오랜 세월 구전을 통해 전해지던 에니어그램이 현재의 아홉 개 성격 유형 체계로 정리되기까지는 여러 지성들의 지혜가 축적되어 있다. 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넘어가고자 한다.

 

1. 조지 이바노비치 구르지예프(Georg Ivanovich Gurdjieff) 

   - 1875년에 태어난 그리스계 미국인. 에니어그램의 상징을 현재의 서구사회로 가져옴

   - 에니어그램을 심리학 이론이 아닌 자연 법칙의 모델로써 가르침

   - 세 가지 신성한 법칙: 원(우주의 만다라), 삼각형(우주의 삼원성-3의 법칙), 헥사드(1-4-2-8-5-7-1로 연결되는

     그림-7의 법칙, 변화성) 

 

2. 오스카 이카조(Oscar Ichazo)

   - 1931년 볼리비아 출생. 에니어그램의 아버지라고 불림

   - 에니어그램의 상징과 성격 유형 사이의 관계 발견. 

   - 1950년 대 중반 에니어그램의 기본적인 원형 완성(아홉 가지 성격 유형)

   - 아홉 가지 신성 & 신성의 특성이 왜곡된 7대 죄악+두려움과 속임수

 

아홉 가지 유형의 열정 또는 큰 죄

-열정 또는 큰 죄라는 개념은 나쁜 것이나 악이 아니라 '표적을 놓치는' 경향으로 받아들일 때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우리가 자신의 중심을 잃어버리고 우리의 사고, 감정, 행동 안에서 왜곡되는 아홉 가지의 방식을 나타낸다. 

1 분노 이 열정은 분개(resentment)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분노 그 자체는 문제가 안 된다. 그러나 1번 유형의 사람들은 그것을 억함으로써 좌절감을 겪고 자신과 세계에 대해 불만을 갖는다.
2 자만심 자만심은 자신의 고통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안 하려는 것을 말한다. 2번 유형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을 도우려고 노력하면서 자신의 필요를 거부한다. 이 열정은 허영심, 즉 자신의 좋은 성품에 대한 자만심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3 속임수 속임수는 우리가 단지 에고에 지나지 않는다고 스스로를 믿도록 속이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이것을 믿을 때 우리의 진정한 자아 대신에 에고를 개발하려고 노력한다.
4 시기심 시기심은 근본적인 것이 상실되어 있다는 느낌에 근거한다. 4번 유형의 사람들은 시기심 때문에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게 없는 자질을 갖고 있다고 느끼게 된다. 4번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에게 없는 것을 갈구하고 자신의 삶에 주어진 축복들을 알아차리지 못할 때가 많다.
5 탐욕 5번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의 내면 자원이 모자라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의 지나친 교류는 그 자원을 엄청나게 고갈시킨다고 느낀다. 이 열정 때문에 5번 유형의 사람들은 세상과 접촉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들은 자신의 자원을 붙들고 있고 자신의 필요를 최소화한다.
6 두려움 이 열정은 불안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불안은 우리를 지금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두려움으로 이끈다. 6번 유형의 사람들은 불안한 상태에 지속적으로 머물러 있고, 미래에 다가올 나쁜 일을 걱정한다.
7 폭음·폭식

폭음 폭식은 경험을 통해 '자신을 채우려는' 만족할 줄 모르는 욕망을 나타낸다. 7번 유형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다양한 아이디어와 경험을 추구함으로써 내면의 공허감을 극복하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이들은 결코 자신이 충분히 새로운 것을 경험했다고 느끼지 않는다.

8 욕망 이것은 성적인 욕망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8번 유형의 사람들은 강렬함, 통제, 자기 확장에 대한 필요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다는 면에서 '욕망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8번 유형의 사람들은 욕망 때문에 삶의 모든 장면에서 자신의 의지를 관찰하기 위해 무리하게 밀어붙이고 자기주장을 한다.
9 나태 나태는 단순한 게으름이 아니다. 9번 유형의 사람들도 아주 적극적이고 성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말의 의미는 삶에 의해 영향 받지 않으려는 욕구이다. 다시 말해서 삶에 완전히 뛰어 들어 활기 있게 살고 싶어 하지 않는 마음이다.

 

 

 

3. 클라우디오 나란조(Claudio Naranzo)

   - 심리치료사, 게슈탈트 치료 프로그램 개발

   -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자아 고착'으로 부르고 성격 유형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 제시함

 

4. 돈 리차드 리소(Don Richard Riso)

   - 13년 간 예수회 수사로 일함. 스탠포드대 사회심리학 석사.

   - 에니어그램을 현대화, 대중화함

 

5. 러스 허드슨(Russ Hudson)

   - 미국 콜롬비아대에서 동아시아 연구로 석사 학위 받음

   - 돈 리처드 리소와 에니어그램 연구소 공동 설립. 에니어그램에 관한 다양한 저술 활동